군립도서관
선택한 기관 검색 선택해제
통합검색 상세검색 다국어 입력기

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670.15
도서 어른이 먼저 읽는 어린이 클래식:. [1]
  • ㆍ저자사항 나성인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풍월당, 2022
  • ㆍ형태사항 344 p.: 삽도; 20 cm
  • ㆍISBN 9791189346348
  • ㆍ주제어/키워드 예술 대중문화 음악 성악 가곡 클래식
  • ㆍ소장기관 태안군립중앙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GM0000059451 v.1 [태안중앙]일반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클래식과 친해지는 네 가지 단계 『어른이 먼저 읽는 어린이 클래식』은 어린 시절부터 클래식과 친해진 저자의 경험을 녹여낸 음악 수필집이자 클래식 안내서다. 저자는 많은 사람들이 어린 시절에 알게 모르게 클래식을 만났다는 데 주목한다. 클래식은 생각보다 친숙하게 접해왔었지만, 이름을 기억하지 않아 그저 잊힌 경우가 많았다는 것이다. 이 책은 그렇게 무심결에 지나쳐 버린 클래식을 다시 만나게 해준다. 클래식과 사귀는 것은 알고 보면 사람을 사귀는 것과 같다. 이름을 알고, 친밀함을 느끼고, 그와 시간을 보내며 넓어지고 깊어지면 비로소 한 사람의 인격을 사귀게 된다. 클래식을 비롯한 예술 작품도 그렇게 사귈 수 있다. 인생을 뛰어넘어 오래 살아남는 예술 작품에는 다 그만한 인격이 깃들기 때문이다. 저자는 클래식과의 사귐이 오랜 코로나 시기를 겪고 있는 어린이들에게 꼭 필요한 정서적 돌봄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한다. 저자는 클래식과의 만남을 네 단계로 적고 있다. 그 첫째는 ‘이름 알기’다. 굳이 들으려고 하지 않았는데, ‘어쩌다 알게 된 클래식’들의 이름을 묻는 것이다. 작곡가, 작품, 연주자의 이름을 기억하는 습관을 들여야 개성 있는 곡들 하나하나와의 교류가 시작된다. 둘째는 ‘친해지기’다. 저자는 클래식 음악을 들을 때 악기들의 소리를 구분할 줄 아는 데서 출발하기를 권한다. 각 악기들의 개성과 목소리를 구분할 줄 알게 되면 작곡가가 작품에 담아놓은 감정과 의미를 좇아가기가 더 쉬워지기 때문이다. 셋째는 넓어지기다. 클래식 음악에는 본고장 유럽의 문화와 역사, 국민성이 담겨 있다. 그래서 클래식을 듣는다는 것은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러시아 등 유럽의 여러 문화를 접하고 다양성에 대한 열린 마음을 배우는 것과 같다. 마지막 넷째는 깊어지기다. 여기서는 클래식 음악이 표현하는 갖가지 미묘하고 복잡한 감정을 다룬다. 어린이들은 클래식 음악을 들으며 사람의 감정과 마음이 이토록 깊다는 것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프롤로그-눈치보기 혹은 기웃거리기

코로나 어린이 11
사귐과 나눔 13
사랑하기와 알아가기 15
클래식은 필수 16
취향의 교육 17
어린이의 품위 19
먼저 듣고 전해주기 20

Ⅰ 이름 알기-어쩌다 알게 된 클래식

멋있고 싶었다 29
삼촌의 카세트테이프 32
음악의 힘 36
사랑할 능력, 사랑할 기회 39
사랑의 씨앗은 오래 기다린다 41
배도 마음도 고프지 않게 42
장발장은 코제트를 구했다 44
편견을 넘어서 45
어린이는 듣기가 특기 46
3분짜리 클래식 48
3분 버티기 50
어쩌다 알게 된 클래식 52
우리 곁의 클래식 54
TV 속의 클래식 55
꼬모 이야기 57
CF는 사라지고, 클래식은 남고 58
주인집 게임기 60
왜 아무도 이름을 말해주지 않았을까? 63
그 시절 어떤 음악 시험 문제 65
교과서 속의 클래식 66
놀람 교향곡 68
경기병 서곡 71
마왕 73
세 가지 이름 기억하기 76
조금 더 자세한 이름들 79
같은 음악 다른 연주: 브람스 81
같은 음악 다른 연주: 차이콥스키 83
청후감 쓰기 87
멋없는 아이의 멋 90

Ⅱ 친해지기-악기와 오케스트라

귀를 연결시키는 것 97
클래식과 친해진다는 것 99
악기들의 목소리 101
무대 위의 한 반 103
오케스트라라는 발명품 105
혁신자들의 공헌 107
우리는 그의 음색이 꼭 필요하다 110
목소리들의 일반적인 특성 111
크거나 작거나 112
반듯하거나 둥글거나 112
무르거나 단단하거나 113
켜는 현악기 114
바이올린 115
현악의 조화력 116
비올라 118
첼로 119
더블베이스 120
현악 사중주 122
현악 피치카토 123
뜯는 현악기 124
기타 125
하프 126
만돌린 128
목관악기 128
플루트 130
피콜로 131
클라리넷 132
오보에 133
바순 134
잉글리시 호른 135
리코더 137
색소폰 137
목관 앙상블 138
목관 오중주와 하모니무지크 139
장난감 140
금관악기 142
트럼펫 143
트롬본 144
호른 145
튜바 149
금관 앙상블 150
타악기 151
캐스터네츠 153
트라이앵글 153
탬버린 154
실로폰 156
글로켄슈필 157
첼레스타 158
튜블러 벨 159
작은북 160
큰북 161
팀파니 161
심벌즈 163
탐탐 163
클래퍼 164
래칫 165
썰매방울 165
봉고 165
타악 앙상블 166
종 167
건반악기 167
오르간 169
하프시코드 170
피아노 171
아코디언과 반도네온 173
건반악기의 앙상블 174
정리 176

Ⅲ 넓어지기-나라들과 다양성

클래식의 집, 유럽 179
제라늄, 비둘기, 벽돌집 181
귀가 먼저, 악보는 나중 182
뻥 뚫린 땅덩어리 183
유럽이라는 다양성, 유럽이라는 융합 185
유럽 나라들의 음향적 이미지 186
유럽 찬가와 인류애 188
독일 189
내면의 고백 190
보통 사람의 목소리 192
소박하나 삶과 가까운 예술 193
이겨내기 194
프랑스 196
에스프리 197
혁명, 실험, 회화성 198
목가와 순정 200
이성적인 ‘조향사’ 202
이탈리아 203
노래라는 자연 204
현악의 나라 206
태양과 즐거움 207
로마인의 후예 208
스페인 210
이국의 고귀한 향수 211
대서양을 넘어서 212
영국 213
오래된 것의 품위 214
명예와 자부심 215
다시 대서양을 넘어서 216
미국 216
문화의 용광로 219
문화의 민주주의 220
라틴아메리카 221
열대우림 속의 바흐 221
콜럼버스와 가우초 222
오스트리아 224
즐거운 합리성 226
계몽의 꽃 227
그리움, 젠주흐트 228
지금 이 순간의 행복 229
국민악파? 230
시민 문화 지향과 민족 문화 지향 232
헝가리, 유럽 한복판의 동양적 목소리 233
체코, 귓병도 막을 수 없었던 한 강물의 서사 235
슬라브의 생명력 237
폴란드, 아름다움의 저항적 몸짓 237
조지아, 낯설지만 매혹적인 흑해 연안의 민요 240
노르웨이, 서정적인 바이킹 241
핀란드, 또 하나의 장대한 신화 242
러시아 243
얼음 속의 불꽃 245
러시아 꼭두각시 인형 247
오케스트라 버라이어티 쇼 249
삼촌은 조카에게 음악을 들려주었다 251

어린 감상자의 인터메초

좋아하는 사람은 주고 싶다 257
좋아하는 사람은 반짝인다 259
스승님은 하산을 명하시었다 260
나의 첫 레코드 262

Ⅳ 깊어지기-감정과 감수성

깊어진다는 것 269
영혼의 풍경을 그려내는 음악 271
감정의 스펙트럼 273
기쁨의 스펙트럼 274
안식 혹은 꿈짓거리 277
슬픔과 노여움의 스펙트럼 278
분노와 다스림 280
고통이 주는 간절함 281
슬픔과 기쁨 사이 282
결핍을 끌어안으려는 용기 285
연민 288
예술은 악의 가장 강력한 예방책 290
클래식이라는 마음의 돌봄 291
경건함과 영성 295
말 너머의 감정 297
시간에 대한 감수성 299
빠르기에 대한 감수성 300
머물러 있고 싶은 마음 302
변화에 대한 감수성 303
소나타 형식 304
묘사와 이야기 308
기다림 311
나를 길들인 음악 313

에필로그-머무르기

눈물 우물 319
앞으로 벌어질 일들: 전곡 듣기 320
앞으로 벌어질 일들: 음반과 인연 320
앞으로 벌어질 일들: 읽기 321
가지려는 마음 vs 함께하려는 마음 322
음반은 시간이 새겨지는 장소다 325
어린이를 위한 음원 327
잊으면 안 되는 것 328
좋아하는 것을 하라 330
마지막 이야기 331

주 340
참고문헌 342
도판 목록 343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태안군립도서관

Copyright © 태안군립도서관.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