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립도서관
선택한 기관 검색 선택해제
통합검색 상세검색 다국어 입력기

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911.021
도서 우리는 고조선을 어떻게 이어왔는가 : 사료로 살펴보는 시대별 고조선 인식
  • ㆍ저자사항 복기대 편저
  • ㆍ발행사항 서울: 덕주, 2023
  • ㆍ형태사항 496 p.: 삽도; 25 cm
  • ㆍ일반노트 권말부록: 태조 이성계 신도비문
  • ㆍISBN 9791197934933
  • ㆍ주제어/키워드 고조선 문헌사료 한국고대사 한국사
  • ㆍ소장기관 태안군립중앙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GM0000059410 [태안중앙]일반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단군은 우리의 자존심을 지키는 가장 큰 무기였다 고조선의 역사 연구에 수십 년간 매진해오고 있는 인하대학교 복기대 교수가 그동안 모아온 방대한 고조선 자료를 묶어 한 권의 책으로 펴냈다.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삼국사기』, 『삼국유사』, 『제왕운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등 37권에 이르는 여러 문헌 사료에 기록된 고조선의 자료를 시대별로 정리하였다. 또한 9권의 중국 자료, 2권의 서양 자료를 통해 그들의 고조선 인식이 어떠하였는지도 살펴보았다. 이러한 문헌 사료에 덧붙여 한국사에서 고조선 인식의 흐름을 명쾌하게 정리하였다. 과거 조선의 학자들은 단군에 대한 기록이 없기 때문에 단군을 말하고 싶어도 말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그들은 단군을 조선의 시조로 내세우며 명나라와 신경전을 벌였다. 그들에게 단군은 우리의 자존심을 지키는 중요한 무기였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그리스사 연구자라면 누구나 읽게 되는 호메로스의 『일리아드』가 발굴을 통해 근대 실증주의 역사학의 대문을 열게 된 것처럼, 우리 민족의 뿌리인 고조선의 흔적을 발굴해 상고사를 올바르게 세우고 그동안 우리에게 신화 속 인물로 존재했던 단군이 역사적 인물로 받아들여지는 데 이 책이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서문

1부 삼국시대의 고조선 인식 문헌 사료
1. 『삼국사기(三國史記)』
2.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
3. 『삼국유사(三國遺事)』

2부 고려시대의 고조선 인식 문헌 사료
1. 『제왕운기(帝王韻紀)』
2. 『고려사(高麗史)』
3.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3부 조선시대의 고조선 인식 문헌 사료
1장 국가 문집
1.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
2.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3. 『세종실록(世宗實錄)』 「지리지(地理志)」
4. 『세종실록(世宗實錄)』 「예지(禮志)」 ‘오례’
5.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중 「왕검성(王儉城)과 아사달(阿斯達)」 기록
6.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7.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8. 『일성록(日省錄)』
9. 『동국통감(東國通鑑)』
10. 『동문선(東文選)』
11.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12. 『만기요람(萬機要覽)』
13. 『홍재전서(弘齋全書)』

2장 개인 문집
1. 『양촌집(陽村集)』
2. 『지봉유설(芝峯類說)』
3. 『잠곡유고(潛谷遺稿)』
4. 『갈암집(葛庵集)』
5. 『미수기언(眉叟記言)』
6. 『약천집(藥泉集)』
7. 『성호사설(星湖僿說)』
8. 『동사강목(東史綱目)』
9. 『수산집(修山集)』
10. 『담헌서(湛軒書)』
11.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12. 『열하일기(熱河日記)』
13. 『동계집(東谿集)』
14.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15.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
16. 『해동역사(海東繹史)』
17. 『연원직지(燕轅直指)』
18. 『임하필기(林下筆記)』

4부 차이나계의 고조선 인식 문헌 사료
1. 『산해경(山海經)』
2. 『여씨춘추(呂氏春秋)』
3. 『사기(史記)』
4. 『회남자(淮南子)』
5. 『진서(晋書)』 「재기(載記)」 제9 ‘모용황(慕容皝)’
6. 보장왕 묘지명
7. 『구당서(舊唐書)』 권5 「본기(本紀)」 제5 ‘고종하(高宗下)’
8. 『태평환우기(太平寰宇記)』
9. 『요사(遼史)』

5부 서양의 고조선 인식 문헌 사료
1. 프랑스
2. 독일

6부 한국사에서 고조선 인식의 흐름
1. 들어가는 말
2. 전통 시대의 고조선 인식
3. 근대 교육제도 도입기의 고조선 인식
4. 1910년 이후 대일 항쟁기의 고조선 인식
5. 환국정부 수립 과도기의 고조선 인식
6. 1974년 국정교과서 이후의 고조선 인식
7. 맺음말

부록_태조 이성계 신도비문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태안군립도서관

Copyright © 태안군립도서관.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