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립도서관
선택한 기관 검색 선택해제
통합검색 상세검색 다국어 입력기

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812.6082
도서 (2020)희곡우체통 낭독회 희곡집
  • ㆍ저자사항 이유진
  • ㆍ발행사항 서울: 걷는사람, 2021
  • ㆍ형태사항 539 p.; 20 cm
  • ㆍ총서사항 국립극단 희곡우체통 희곡집
  • ㆍ일반노트 공저자: 박세은, 박지선, 김수연, 강동훈, 홍단비
  • ㆍISBN 9791191262995
  • ㆍ주제어/키워드 대중문화 연극 국내희곡 희곡집
  • ㆍ소장기관 태안군립중앙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GM0000059349 v.2020 [태안중앙]일반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국립극단 『2020 희곡우체통 낭독회 희곡집』 도서출판 걷는사람에서 『2020 희곡우체통 낭독회 희곡집』이 출간되었다. 지난해 『2018 희곡우체통 낭독회 희곡집』에 이어 『2019 희곡우체통 낭독회 희곡집』을 펴낸 바 있고, 올해 『2020 희곡우체통 낭독회 희곡집』을 출간했다. ‘국립극단 희곡우체통은’ 좋은 희곡을 발굴하여 낭독회에 소개하는 온라인 상시투고 제도이며, 그 작품들을 한데 모아 희곡집으로 출간하고 있다. 이번 희곡집에는 6명의 작가가 참여, 6편의 작품이 실렸다. 작품 편수는 지난 작품집보다 줄었으나 책의 볼륨은 총 540쪽으로 가볍지 않다. 희곡집은 코로나19로 긴 어둠이 걷힐 것 같지 않은 시간에도 봄이 오듯이 풋풋한 초록빛 표지처럼 각기 개성 넘치는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세대를 아우르며 시대를 넘나드는 각 작품들은 사극에서부터 X세대를 거쳐서, SF적 요소가 가미된 인공지능 이야기까지 다채롭게 펼쳐진다. 「X의 비극」은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다. 아무것도. 사회는 제로섬 게임. 내가 이기려면 누군가가 패해야 한다”는 대사로 시작된다. 1990년대의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던 X세대가 어느새 중년의 나이로 접어들어 기성세대가 되었다. 이 작품은 끊임없는 경쟁에서 탈진한 40대 주인공이 아무것도 하기 싫은 번아웃 증후군에 빠진 이야기로 다소 냉소적으로 그려지고 있지만, 오히려 그러한 시선이 특정 세대에 국한되지 않는 비극적인 현실을 직시하게 한다. 21세기 백세 시대에 미래 사회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세 개의 버튼」은 인간과 인공지능에 관한 SF 희곡으로 참신한 소재가 재미를 더하고 있다. 김명화 평론가는 해설에서 “우리에게 익숙한 휴머니즘과 그 토대를 이루는 가족관계에 대해 성찰하면서, 무엇이 인간다움인지를 물어보는 철학과 집요함이 있”다며 “작가의 문제의식이 예사롭지 않다”고 평한다. 「누에」는 이제껏 펴낸 희곡우체통 희곡집에서 사극으로는 첫 작품이며, 규방에서 권력과 욕망을 두고 벌어지는 암투극을 그렸다. 수동적이고 조력자로서의 존재를 넘어선 여성들의 이야기가 생생하게 그려지고 있다. 이에 대해 김명화 평론가는 “성종을 매개로 권력에 대해 성찰한 작품인데 악의 씨가 불안과 욕망 속에서 파문을 불러일으키는 상황의 구축, 삶과 죽음 또 현실과 환상을 능란하게 교직하는 극작술이 인상적”이라고 호평한다. 「익연」은 2013년에 쓴 『체홉적 상상-갈매기 5막 1장』을 각색한 첫 장편 희곡이다. 총소리로 시작되는 첫 장면은 안톤 체호프의 원작 「갈매기」의 마지막 부분 ‘뜨레쁠레프의 자살’을 상징하는 것이다. 「익연」은 그 이후를 상상하며 현대적으로 각색해 낸 작품이다. 김명화 평론가는 “장광설의 대사 속에 인간의 속물근성과 변덕스러움을 파고들면서 존재에 대한 연민과 서정을 포기하지 않는 작가의 역량은 주목할 만하다”고 평한다. 「그게 다예요」는 관례적인 서술 방식으로 전개되지 않는다. 강동훈 작가의 첫 작품으로, 그는 ‘작가의 말’을 통해서 “날실과 씨실처럼 교차하는 두 쌍의 연인, 한 낯선 가족의 자취를 엮은 작품”이라고 소개한다. 조부모의 자취를 좇아서 기억의 조각들을 감각적으로 꿰맞추어 나가는 작품에 대해 김명화 평론가는 “파편적인 퍼즐들이 모여 문득 시간과 존재의 아픔을 따뜻하게 위로한다는 점”을 높이 사며, “포스트 드라마를 자연스럽게 구사하는 젊은 세대의 작가가 도래하고 있음에 설?던 작품”이라고 평한다. 「춘향목은 푸르다.」는 1960년대 재개발로 인해 변두리로 밀려난 이주민을 다룬 작품이다. 삶터를 빼앗긴 이주민들의 비극보다는 무너지지 않는 생명력에 초점을 맞추어 해학적이고 위트 있게 그려 내고 있다. 김명화 평론가는 “진정성은 진부함에 굴하지 않고 시류나 세련의 허상을 이겨 낸다. 「춘향목은 푸르다.」가 그런 작품이었다. 희곡을 읽으면서 새로운 감각에 감탄하는 대신 오랜만에 묵직한 감동 속에 존재의 존엄함에 대해 생각할 수 있었다”고 평한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X의 비극 …………… 이유진

세 개의 버튼 ……… 박세은

누에 ………………… 박지선

익연 ………………… 김수연

그게 다예요 ………… 강동훈

춘향목은 푸르다. …… 홍단비

작품 해설 …………… 김명화
작가 약력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태안군립도서관

Copyright © 태안군립도서관.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