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립도서관
선택한 기관 검색 선택해제
통합검색 상세검색 다국어 입력기

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321.542
도서 을 때려치운 여자들 : 서로의 레퍼런스가 된 여성들의 탈장 연대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GM0000059318 [태안중앙]일반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여초 직업 서사의 기원과 진실을 사회구조 차원에서 집요하게 밝히다 거미줄처럼 투명한 억압으로 여성을 에워싼 폭력을 해체하고 숨 쉴 곳을 찾아나선 전현직 여초 직군 여성들의 일 경험 이야기 정세랑(『보건교사 안은영』 작가) · 김희경(『에이징 솔로』 저자) 추천 지금까지 여자들은 자신의 직업을 ‘선택’했을까? 사회/젠더 전문 기자 이슬기와 교사 출신 작가이자 성교육 활동가 서현주가 여자들이 갖기 좋은 직업의 세계에 진입하였다가 알을 깨고 나간 이들의 경로를 연구한 다학제적 결실을 내놓는다. 이들 연구의 스펙트럼은 유년 시절 교실 뒤에 붙어 있던 직업 포도송이로 거슬러 올라가 2023년 가을 아이슬란드 여성 총파업에 이르기까지 전방위적으로 이루어졌다. 『직업을 때려치운 여자들』은 여성 종사자가 남성 종사자보다 압도적으로 많아 여초 직업이라 일컬어져 온 교사, 간호사, 승무원, 방송작가 직군에서 왜 여성들이 많이 일하게 되는지 진로 선택 단계부터 가해져 온 억압의 기원을 파헤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오랜 세월 동안 여자가 갖기 좋은 직업이라는 사회적 인식으로 포장되어 온 교사, 간호사, 승무원, 방송작가가 진정으로 여자가 하기 좋은 직업이었는지를 과거와 현재에서 서로 공명하는 퇴직/재직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끈질기게 추적한다. 초등학교 교사였던 서현주는 당사자로서 교직 생태계의 부조리를 폭로한다. 한편, 9년 동안 《서울신문》, 《오마이뉴스》 등의 지면에서 사회문화의 경계와 여성주의 혁신을 탐사해 온 이슬기 기자가 교사 자살과 태움 등 여초 직군에서 벌어지는 문제의 유인을 개인 차원이 아닌 사회구조 차원에서 찾는다. 두 저자는 교권 보호 4법 개정안, 간호법 제정안 폐기 사태, 유보통합 등의 법안 동향 분석과 향후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며 구체적인 개선안까지 『직업을 때려치운 여자들』에 녹여 냈다. 진로 선택에서 퇴직까지 여성의 전 생애에 도사린 돌봄의 의무와 사회적 기대 여초 직장인의 A to Z를 치밀하게 연구해 기록한 본격 여초 직업 르포르타주 저자들은 당사자성에서 출발해 주된 학업 성취와 진로 선택이 이뤄지는 청소년기에 유독 ‘교사’와 ‘간호사’가 추천되었던 사회적 분위기를 면밀하게 분석한다. IMF 사태로 인한 경제 위기로 고용불안의 강한 영향력 아래 성장한 1980년대에서 1990년대생 여성들은 교사 혹은 간호사의 직업적 가치가 가장 높았던 교실에서 직업적 안정성을 위시하여 대학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방학과 유급 휴직이 보장되는 교사와, 자격증이 있는 전문직으로 재취업이 용이한 간호사는 부부가 맞벌이를 하더라도 주로 여성이 겪는 경력 단절에서 자유로운 직종이었다. 또한 이슬기 저자는 클라우디아 골딘의 연구를 통해 같은 직종에서 일하는 부부 사이에서도 연차가 쌓일수록 급여와 승진에서 누적된 격차가 생기는 현실을 지적한다. 저자들은 이에서 더 나아가 자신들의 가정과 인터뷰이들의 사례를 비춰보며 한국에서의 특수성을 발견하게 된다. 가정 내에서 기혼 여성에게 작용한 핸디캡뿐 아니라 미혼 여성인 ‘딸’에게 가해졌던 과도한 사회적 기대다. 직장에서 일하는 기혼 여성들은 유독 남편보다 가정의 돌발 상황에 대비하는 ‘온콜on-call’ 상태가 요구되는데, 딸들 역시 그랬던 것이다. 게다가 딸들은 그들의 남자 형제였던 아들들에 비해 재수 입시 기회와 교육비 등 생애 주기에서 가장 주요하게 지원받아야 했던 경제적 자원은 물론, 부모의 지지나 격려와 같은 긍정적인 환경을 포괄하는 정서적 자원을 충분히 제공받지 못했을뿐만 아니라 상한선을 제한당하기까지 했다. 이러한 경향은 지방으로 갈수록 더 심화되는데, 지방 여성들의 경우 입결이 더 높은 곳에 합격했음에도 출생지가 아닌 타 도시 소재의 학교라는 이유만으로 진학할 권리를 박탈당했다. 장학금을 받는 조건으로 타 도시 소재 대학에 합격했지만, 부모의 압력으로 거주지에서 가까운 대학을 택해 보육교사로 진로가 좁혀진 수정의 사례는 많은 지방 여성들이 가장 공감할 이야기일 것이다. 더욱 놀라운 것은 하고 싶은 일이 많아 다른 일을 꿈꿨고, 더 잘하는 것이 있었던 여러 인터뷰이들의 입을 통해 증명된 이른바 ‘가성비’ 서사다. 또, 그렇게 가성비를 따져 여초 직장으로 진입한 이들이 일터에서도 돌봄의 의무를 부여받아야만 했던 여성들의 연결되는 미시사도 확인할 수 있다. 방송작가는 여성 비율이 94.6%에 달하는 ‘여초의 세계’다. 인터뷰이 한별과 승희, 현제는 작가가 가족 구성원처럼 젠더화된 역할을 수행해야 했던 방송 현장을 떠올린다. 학교에서도 여성들은 교사의 수많은 업무 중 ‘돌봄’의 의무를 전담하고 있다. 돌봄의 손길이 필요한 초등학교 저학년 담임에 젊은 여성 교사들이 배정되는데, 이에는 엄마 역할에 대한 기대가 저변에 깔려 있다. 용변 후 뒤처리, 급식 지도, 머리 묶어주기 같은 보살핌부터 정규수업 외에 맞벌이·저소득층·한부모 가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돌봄교실 행정 업무도 여교사들 몫이다. 이는 학교폭력이나 과학 및 정보, 체육 교과 관련 업무를 남성 교사가 담당하는 현실을 함께 살펴볼 때 교사 개인의 성향이나 역량에 관계없이 젠더에 따라 업무분장이 이뤄지는 학교의 실상을 노골적으로 말해준다. 가정에서 딸이나 아내의 역할을 수행해 온 여성들은 직장에서도 돌봄의 의무를 이행하며 이중적인 억압을 감당해 나가야 했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태안군립도서관

Copyright © 태안군립도서관.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