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립도서관
선택한 기관 검색 선택해제
통합검색 상세검색 다국어 입력기

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539.9
도서 식탁에서 지구를 생각해 : 처음 읽는 어린이
  • ㆍ저자사항 이진규 글;
  • ㆍ발행사항 서울: 영수책방, 2023
  • ㆍ형태사항 108 p.: 삽도; 23 cm
  • ㆍ총서사항 처음 읽는 어린이 시리즈
  • ㆍISBN 9791197431289:
  • ㆍ주제어/키워드 식탁 지구 환경
  • ㆍ소장기관 태안군립중앙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KM0000036868 [태안중앙]어린이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무심코 먹는 음식 속에 담긴 환경 이야기 우리는 매일 별 생각 없이 밥을 먹는다. 그런데 인간이 매일 먹는 모든 것 때문에 지구는 고통받고 있다. 무슨 일이 있는 걸까? 인간이 너무 많이 먹게 된 고기 때문에 지구는 더욱 뜨거워지고, 편리하게 먹는 배달 음식 때문에 썩지 않는 쓰레기가 쌓인다. 시리얼이나 과자 등을 값싸게 사 먹는 동안 지구의 숲은 파괴되고, 물고기를 마구잡이로 잡는 통에 바다 생태계가 무너진다. 결국 인간이 만든 지구 온난화와 환경 오염은 식량 위기로 돌아온다. 이제 더 이상 지구의 고통을 외면해선 안 된다. 식탁 앞에서 지구의 이야기를 들어보며 행동에 나서야 한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급식에 고기가 없다니 배신이야!
(우리가 고기를 너무 많이 먹었을 때 생기는 일)

• 고기를 덜 먹어야 기후 위기를 막는다고?
• 기후 위기? 기후 변화? 무슨 말이야?
• 온실가스, 대체 어디서 그렇게 나오는 거야?
• 기후 위기라는 말로는 부족해
• 별일 없어 보인다고?
• 지구 온도가 1.5도 올라간다면?
• 왜 무서워하지 않을까?
• 고기 먹는 게 나쁘다는 거야?
• 고기를 덜 먹으면 어떤 일이 생길까?

현대인의 꽃말은 배달 음식?
(사람이 버린 쓰레기로 뒤덮인 지구)

• 최초의 칫솔도 썩지 않는 세상
• 얼마나 만들고 버릴까?
• 인간이 가지 않은 곳에도 플라스틱 쓰레기는 간다
• 분리배출을 했는데?
• 음식물 쓰레기는 어떨까?
• 버려지는 음식물을 어떻게 할까?
• 과학은 마술이 아니야
• 국가에서는 어떤 노력을 할까?
• 우리의 할 일을 하자

할머니의 생선 구이가 작아진 이유는?
(생물 다양성이 유지되는 세상)

• 할머니가 어릴 때는 왜 생선이 더 컸을까?
• 생물 다양성이 뭐야?
• 생물 다양성은 곧 인간의 생존 문제
• 생물 다양성이 인간에게 주는 이익
• 코로나19 같은 전염병이 다시 유행한다면
• 꿀벌이 사라지고 있어
• 인간에게 생물 다양성이란

예전의 빵 값이 아니야!
(식량 위기라는 문제)

• 왜 밀가루 값이 올랐을까?
• 세계 곳곳에서 흉년이 들고 있어
• 굶주림에는 끝이 없어
• 식탁 물가가 오를 때
• 누구도 피할 수 없어
• 과학은 무엇을 하고 있을까?
• 식량 위기에서 나는 무얼 해?

정말로 호랑이 기운이 솟아날까?
(대량 생산, 대량 소비로 지구가 얻은 것)

• 많이 만들어서 많이 쓴다!
• 기업이 ‘다음’에 관심을 갖게 해야 해
• 작년은 롱 패딩, 올해는 숏 패딩?
• 지구의 눈물을 먹는 우리
• 지구의 눈물을 닦아 주려면
• 기업이 내는 목소리에 ‘아니오’라고 말하자

딸기는 겨울이 제철 아니었어?
(기후 변화와 환경 정의)

• 자연을 거슬러 재배한 음식의 달콤한 맛, 씁쓸한 맛
• 기후 변화는 우리 식탁을 어떻게 바꿀까?
• 기후 위기는 약한 사람들부터 덮친다
• 환경 문제와 정의가 만나면
• 우리는 어디를 향해 가는 걸까?
• 약속은 지켜질 수 있을까?

오늘 저녁은 내가 요리해 볼래
(지구에 무해하게 살아가는 법이 있을까?)

• 내가 마트에서 장 본 날
• 환경을 지킨다는 게 고통일까?
• 세상의 구석구석 모두가 노력해야 해
• 간단한 답은 가짜야!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태안군립도서관

Copyright © 태안군립도서관.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