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립도서관
선택한 기관 검색 선택해제
통합검색 상세검색 다국어 입력기

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598.1
도서 공부 자립 : 스스로 사고하는 아이로 키우는 교육법
  • ㆍ저자사항 박주봉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RHK(알에이치코리아), 2023
  • ㆍ형태사항 324 p.: 삽도; 23 cm
  • ㆍISBN 9788925576763
  • ㆍ주제어/키워드 공부 자립 사고 아이 알파세대 교육법
  • ㆍ소장기관 태안군립중앙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GM0000058412 [태안중앙]일반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초등학생 아이의 부모님들 모두 주목!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적용, 내 아이의 공부법은 어떻게 변해야 할까? 2025년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된다는 소식에 교육계가 들썩이고 있다. 새로운 교육 지침에 학생들은 물론, 학부모님들 역시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 몰라 고민이다. 사고력교육전문가이자 이 책의 저자인 박주봉 소장은 고교학점제가 시작되면 교과목의 수가 지금보다 열 배 이상 많아진다고 예측한다. 과목의 수가 많아지면 우리 아이들이 대비해야 할 학습 범위 역시 매우 다양해지고 넓어질 것이다. 그러니 현명한 학부모라면 국ㆍ영ㆍ수처럼 특정 과목만 중시하는 지금의 교육이 시대에 뒤처졌다는 사실을 하루빨리 깨달아야 한다. 지나친 선행 학습, 풀이법까지 외워버리는 수학, 기출 문제 ‘양치기’ 역시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보장해주지 않는다. 이 책의 저자는 빠른 결과만 중시하는 사교육에 휩쓸리지 않고, 유동적인 교육제도에도 흔들리지 않을 유일한 방법을 이 책에 담았다. 그 해법은 바로 ‘학습 역량’ 확장이다. 고교학점제로 인해 대폭 확대될 학습 범위를 일일이 살펴보지 않아도, 스스로 사고할 줄 아는 아이라면 어떤 문제든 이해하고 풀어낼 수 있다. 이 책은 주도적으로 사고할 줄 아는 아이들, ‘무조건 암기’와 ‘떠먹여 주는 교육’에서 졸업한 아이들을 ‘공부 자립’에 성공했다고 말한다. 아이의 ‘공부 머리’를 만들기 위한 탄탄한 자녀교육의 이론과 실천! 공부 자립으로 향하는 실전 로드맵 초등 시기야말로 공부 자립의 힘을 기를 수 있는 골든 타임이다. 초등 시기를 놓치면 아이의 학업 역량은 더 발전하지 못하고 굳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초등, 아이의 이 귀중한 6년을 어떻게 보내야 할까? 17년간 학생들 2만여 명의 공부 자립을 도와온 저자는 그동안 축적한 경험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초등 시기에 꼭 길러야 할 기초 역량을 네 가지로 정리했다. 첫째, 사고력. 둘째, 독해력, 셋째, 수학적 사고. 마지막으로 흔히 얘기되지 않지만 공부 자립의 필수 요소인 시각화까지. 이 네 가지 역량만 키워주면 아이는 어떤 어려운 문제를 만나도 당황하거나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책에 담긴 구체적인 데이터와 다양한 샘플 문제를 차근히 따라가다 보면 공부 자립의 원리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을 완독하면 다른 교육서는 더 이상 눈에 들어오지 않을 것! 〈공부 자립〉이 말하는 교육법은 점수를 빨리 낼 수 있는 속성 교육도, 부모와 선생님이 편한 쉬운 교육도 아니다. 하지만 〈공부 자립〉은 ‘진정한 공부’가 무엇인지 알게 해주는 책이다. 아이가 공부를 짐처럼 느끼도록 교육할 것인가? 아니면 성취감을 느끼며 공부를 즐기도록 교육할 것인가? 현명한 부모님과 선생님이라면 아이의 평생에 도움이 될 자양분 같은 공부법을 선택할 것이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들어가는 글 | 내 아이를 알고 있는가?

1부 사고력 | 공부 머리 만들기

제1장 공부 머리는 초등학생 때 결정된다
- 내 아이와 옆집 아이는 다르다
- 학습 역량은 지식, 지능, 태도를 아우른다
- 사고력이 ‘공부 머리’이다
- 사고력 훈련은 태도 변화까지 이끌어낸다
- 잘못된 자극을 주지 않는 것이 우선이다
- ‘타고난 머리’ 탓하지 말라
- 사고력 훈련으로 내 자녀를 공부 머리 있는 아이로 만들기
- 내 아이의 미래를 가를 결정적 시기

제2장 공부 잘하는 아이는 뭐가 다를까?
- 균형 잡힌 뇌
- 집중하고 지속하는 힘
- 문제 해결 프로세스를 탐구하다
- 세상에 ‘공부 못하는 아이’는 없다

제3장 내 아이에게 맞는 사고력 훈련
- 내 아이를 파악하라
- 사고 영역에 의도적인 자극 주기
- 개인화하지 않으면 효과는 없다
- 가르치지 말고 질문하기

2부 독해력 | 공부 자립의 기초 도구

제1장 간과하면 큰일 나는 우리 아이 독해력
- 어떤 문제든 독해력이 우선이다
- 강조되는 문해력, 그러나 핵심은 독해력이다
- 많이 읽으면 독해를 잘할 것이라는 오해
- 짧은 글은 독해가 아니다?

제2장 독해력 연습의 도구, 프레임
- 학습을 위한 읽기로서의 독해
- 사실적 읽기와 추론적 읽기
- 핵심을 꿰뚫는 관점을 길러주는 프레임
- 독해 훈련의 의미


제3장 무작정 읽기 = 가성비 제로!
- ‘의도적 읽기’를 습관화하라
- 책은 아이가 스스로 선택하게 하라
- 저학년 독해 훈련은 어떻게 할까?

3부 응용력 | 수학 잘하는 아이로 키우려면

제1장 수학적 사고, 암기에서 사고로
- 초등 수학, 연산이 전부는 아니다
- 누구나 하는 수학 공부로는 수학을 잘할 수 없다
- 수학은 ‘설명을 듣는 것’이 아니라 ‘생각하는 것’이다
- 당장의 점수보다 중요한 것

제2장 수학 문제를 마주할 때 사용할 의도적 관점 네 가지
- 관점 1. 수학 문제와 현실을 별개로 생각하지 말라
- 관점 2. 문제 뒤에 숨은 생각을 읽어라
- 관점 3. 패턴을 읽어내는 의도적 관점을 가져라
- 관점 4. 언어화와 자기체계화를 습관화하라
- 어떻게 연습시킬 것인가

제3장 떠도는 소문들을 무시하라
- 사고력 수학은 따로 배우는 과목이 아니다
- 문장제 문제를 풀지 못하는 것은 언어 때문이다?
- 사고력과 사고력 수학은 목적지가 다르다
- 4학년이면 선행 학습에 들어가야 한다?

4부 시각화 | 새롭게 바라보는 힘

제1장 왜 시각화인가?
- 초등 시기에 필요한 시각화 훈련 세 가지
- 시각화 훈련이 필요한 이유

5부 | 공부 자립으로 이끄는 부모의 태도

제1장 부모가 바뀌지 않으면 내 아이의 공부 자립은 불가능하다
- 초등 시기는 미래 학습의 성과를 결정한다
- 공부 지도, 아이와 대화하라
- 아이의 사고 성향을 관찰하라
- 진로를 위한 탐색은 아이와 함께
- 공부는 쉽지 않다는 사실, 아이와 공유하라

에필로그 | 공부 자립의 길

부록 | 질문하는 만큼 배운다: 사고력 / 수학 / 언어 학습 질문법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태안군립도서관

Copyright © 태안군립도서관.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