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립도서관
선택한 기관 검색 선택해제
통합검색 상세검색 다국어 입력기

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334
도서 비만이 사회문제라고요? : 10대를 위한 과 비만 이야기
  • ㆍ저자사항 박승준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초록서재, 2021
  • ㆍ형태사항 152 p.; 21 cm
  • ㆍ총서사항 초록서재 교양문고
  • ㆍISBN 9791197456381
  • ㆍ주제어/키워드 비만 사회문제 음식 사회학
  • ㆍ소장기관 태안군립중앙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GM0000057477 [태안중앙]일반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비만은 개인의 책임일까, 사회적 문제일까? 새해 계획에 다이어트와 운동은 꼭 등장한다. 날씬하고 건강해지고 싶기 때문이다. 통계에 의하면 사람들은 자신이 살찌는 이유는 사회적 요인 탓이 크지만 살을 빼지 못하는 것은 개인의 책임이라는 모순된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비만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혈관 질환, 암 등 여러 질병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고 개인이나 사회경제적으로도 막대한 비용이 요구되는 질병이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여서 2018년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액은 11조 원이 넘을 정도다. 이처럼 비만은 이미 개인 건강의 문제를 넘어 이제 사회 문제가 되었다. 물론 비만은 개인만의 책임도 아니고, 사회만의 책임도 아니다. 그러나 우리가 비만을 조장하는 사회에 살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다고 구석기 시절로 돌아갈 수도 없고, 오지의 원주민처럼 살 수도 없다. 과연 비만 권하는 현대 생활에서 건강하게 살아남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비만이 사회문제라고요?》는 비만의 개념에서부터 시작해, 먹거리와 관련한 가공 산업, 패스트푸드, 외식문화, 동물복제를 살펴보며 먹는 것의 심리학적인 문제뿐 아니라 비만의 사회적인 문제까지, 청소년 눈높이에 맞춰 풀어낸 책이다. 평생 건강을 다지는 데 기반이 되는 청소년 시기는 건강과 올바른 식습관을 갖추는 데 매우 중요한 때다. 이 책은 청소년들이 비만과 음식에 대해 생각하고 함께 토론해 보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현대의 먹거리는 어떤 문제점을 가지고 있을까? 중세 귀족들은 초상화를 그리거나 전신 석상을 만들 때 실제보다 더 뚱뚱하게 표현되기를 원했다고 한다. 유명한 ‘밀로의 비너스’나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이라는 그림만 보아도 미인의 기준이 지금과 달랐음을 알 수 있다. 18세기 말 사람이었던 대니얼 램버트는 180cm의 키에 몸무게가 335kg이나 되었다. 하지만 그가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을 때 사람들은 그의 몸집을 칭송할 정도였다. 그러나 20세기 들어서면서 이런 기준은 크게 바뀌었다. 비만을 나태함의 상징으로 여겼고, 체중이 많이 나갈수록 사망률이 증가하는 것을 알게 되면서 보험료를 올렸으며 제1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뚱뚱한 사람이 많이 먹는다며 손가락질하기도 했다. 전 세계 비만 인구는 1980년대를 기준으로 부쩍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개발도상국의 비만율이 심각하다. 가난한 사람들은 영양보다는 열량을 채우기 급급해 값이 싸고 열량만 높은 패스트푸드를 즐긴다. 특히 청소년들이 즐기는 청량음료는 영양이라고는 없는 설탕 덩어리일 뿐이다. 그럼에도 패스트푸드나 청량음료 산업은 최대한 멋진 광고로 그럴싸하게 포장해 청소년들에게 파고든다. 이처럼 우리 주변에는 건강을 위협하는 먹거리들로 가득하다. 유전자 변형식품은 건강을 불안하게 만드는 것 중 하나다. GMO가 건강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그 누구도 명확히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적어도 어떤 식품에 GMO가 들어 있는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소비자가 알아야 할 권리가 있다. 지나친 육류소비도 마찬가지다. 현대인들은 육식을 즐긴다. 이를 위해서 동물들은 공장식으로 사육된다. 공장식 사육은 전염병에 취약하다. 또 많은 고기를 얻기 위해 지나치게 많은 곡물이 필요하다는 것도 간과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오히려 굶주리는 사람이 늘어나기도 하기 때문이다. 가공식품 문제도 빼놓을 수 없다. 가공식품은 식품첨가물이 들어가고 가공과 변형을 거친 식품으로 라면이 대표적이다. 우리나라는 연간 라면소비량이 74.5개로 세계 1위다. 물론 가공식품을 전혀 먹지 않고 살 수는 없다. 건강하게 행복하려면 자신만의 골디락스 존, 즉 균형을 찾아가는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태안군립도서관

Copyright © 태안군립도서관.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