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립도서관
선택한 기관 검색 선택해제
통합검색 상세검색 다국어 입력기

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912
도서 한국인이 좋아하는 중국사
  • ㆍ저자사항 구성희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 민속원, 2020
  • ㆍ형태사항 526 p. : 삽화(일부천연색), 계보, 지도, 초상 ; 23 cm
  • ㆍISBN 9788928513932
  • ㆍ주제어/키워드 한국인 좋아하 중국사 문화 역사 민속원
  • ㆍ소장기관 태안군립중앙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GM0000051940 [태안중앙]일반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중국인들은 누구이고, 무슨 생각을 하며, 어떤 미래를 만들어가려 하는지에 대한 대답을 중국 역사 속에서 찾을 수 있다이 책은 총 15장으로 중국 고대문명에서 중국의 현대 동향까지 정치적 흐름을 설명하면서 당시의 사회와 문화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있어 중국사와 중국학 강의 교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머리말
중국 역대 왕조표
중국인의 역사인식
중국에 대한 공간·시간·인간개념

제1장
중국의 자연환경과 민족

1. 중국의 국토
2. 중국의 자연자원
3. 중국의 행정구역
4. 다양한 민족구성
5. 중국 민족성의 특징

제2장
중국문명의 기원과 신화시대

1. 중국 원시인류의 기원
2. 황하문명–앙소문화·용산문화
3. 신화의 세계와 하왕조의 실재

제3장
은·주시대의 사회와 문화

1. 은왕조의 흥망
2. 은허와 갑골문
3. 은왕조의 국가 기구와 사회 경제
4. 주나라의 봉건 제도·종법 제도
5. 서주의 경제활동
6. 제후의 강성과 서주의 멸망
7. 은·주대 문화의 발달

제4장
춘추 전국시대의 사회와 군웅의 각축

1. 춘추전국시대의 특징
2. 전국각국의 변법
3. 춘추전국시대의 사회와 경제 변화
4. 춘추전국시대의 학술과 문화
5.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의 주요 사상과 내용

제5장
진시황의 천하통일

1. 중국을 최초로 통일한 진시황
2. 황제 제도와 중앙집권체제의 수립
3. 진시황이 이룩한 최대의 업적
4. 2세 황제 호해와 조고의 전횡
5. 진승과 오광의 난
6. 항우와 유방의 최후결전

제6장
한漢의 통일과 중앙집권체제의 구축

1. 한대 초기의 국가조직과 정책
2. 한무제시대의 빛과 그림자
3. 실크로드의 개통
4. 왕망정권의 등장과 좌절
5. 후한의 건국과 정치적 전개
6. 후한 말 외척과 환관의 권력투쟁
7. 한대의 생활과 문화

제7장
위진남북조시대 다양한 문화의 융합

1. 삼국의 분열과 서진의 통일
2. 5호 16국 시대
3. 강남의 실력자 귀족
4. 북위의 화북통일과 한화정책
5. 분열과 항쟁을 지나 다시 통일의 시대로
6. 위진남북조의 사상과 문화

제8장
수·당시대, 동아시아 문화권의 형성

1. 수나라, 중원을 다시 통일하다
2. 당의 건국과 발전
3. 당태종, 정관의 치
4. 100만 인구의 세계 최대 도시 장안
5. 중국 최초의 여황제 측천무후
6. 세계 예술의 보물창고 돈황
7. 현종과 양귀비 그리고 당나라의 쇠퇴
8. 안사의 난과 황소의 난
9. 당대의 문화

제9장
송대의 독재 군주체제와 사대부 서민 사회

1. 오대십국–‘황소의 난’을 지나 정국은 난세로
2. 송의 건국 - 문치주의와 군주독제체제의 확립
3. 귀족사회는 망하고 황제의 권력은 절대화
4. 송의 수도 개봉과 장안의 차이점
5. 송의 문치주의로 요·서하·금이 일어서다
6. 북송의 개혁가 왕안석의 신법
7. 사마광의 자치통감
8. 남송의 건국과 멸망
9. 상업도시의 발달과 서민 문화의 대두

제10장
원나라의 중국지배

1. 초원의 폭풍 칭기즈칸
2. 약탈자에서 지배자로
3. 원의 침입과 고려, 일본, 베트남
4. 원나라에 널리 퍼진 티베트 불교와 기독교
5. 원대의 사회와 경제
6. 동서 교류의 확대
7. 원대 서민문화의 발달

제11장
명나라의 흥망성쇠

1. 한족, 다시 중국대륙의 주인으로
2. 천하의 영웅 영락제
3. 일곱 번에 걸친 정화의 대 원정
4. 명나라 300년을 지탱한 경제 발전
5. 운하와 만리장성의 대 보수 공사
6. 명나라의 대외문제
7. 내부에서 붕괴되기 시작하는 중화제국
8. 장거정의 개혁과 이자성의 난
9. 양명학의 성립
10. 명대의 문화

제12장
청제국의 건설과 중화 제국

1. 후금에서 대청제국으로
2. 청조의 한족 지배
3. ‘삼번의 난’과 대만의 항거
4. 위대한 황제 강희제가 취한 정책
5. 옹정제와 건륭제의 치세
6. 난숙에서 쇠퇴로 향하는 청 제국
7. 청의 사회와 경제
8. 청대의 문화

제13장
서구열강의 진출과 무너지는 대청제국

1. 역사상 가장 부도덕한 전쟁–아편전쟁
2. 태평천국운동(1851~1864)
3. 2차 아편전쟁(애로호사건)과 북경조약
4. 격동의 청나라 말, 서태후의 등장
5. 양무운동의 추진(1860~1894)
6. 변법자강운동
7. 청나라의 멸망

제14장
중화민국의 고뇌

1. 신해혁명의 발발과 중화민국의 성립
2. 군벌시대
3. 민족해방투쟁의 불을 당긴 ‘5·4 운동’
4. 국민당과 공산당
5. 국민혁명군의 북벌, 공산당의 대장정
6. 항일 민족 통일 전선과 제2차 국·공 합작
7. 8년의 항전과 국·공 내전

제15장
중화인민 공화국의 빛과 그림자

1.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립, 국민당정부는 대만으로 이주
2. 중·소 우호동맹과 미·소 냉전시대
3.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
4. 주은래의 외교수완과 국제관계
5. 모택동의 ‘대약진운동’이 실패한 이유
6. 문화대혁명이 중국역사에 남긴 폐해
7. 사인방 시대가 중국에 남긴 상처
8. 등소평의 개혁개방 정책
9. 중국에 남겨진 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태안군립도서관

Copyright © 태안군립도서관.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