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립도서관
선택한 기관 검색 선택해제
통합검색 상세검색 다국어 입력기

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375.2262
도서 의 밥상머리 교육
  • ㆍ저자사항 김미라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 보아스, 2018
  • ㆍ형태사항 298 p. ; 21 cm
  • ㆍ일반노트 권말부록: 중국 전통사회의 어린이 학습서
  • ㆍISBN 9791189347017
  • ㆍ주제어/키워드 인성교육 조선 밥상머리 인성교육
  • ㆍ소장기관 태안군립중앙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GM0000046537 [태안중앙]일반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사람답게 사는 방법과 바른 교육의 길이 무엇인지 알려준 조선의 교육법!8편의 조선 동몽교재와 3편의 중국 어린이 교육서를 통해 삶에서 진정한 성공이 무엇이며 위대한 교육이 무엇인지, 그 길을 찾게 해주는 『조선의 밥상머리 교육』.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육자로서 또 한 아이의 엄마로서 미래를 짊어질 우리...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머리말

제1장 사람다운 사람을 만든 조선의 교육법
1. 지금의 우리는 누구를 위해 공부하고 있는가?
2. 교육이란 우리 안에 존재하는 선함을 끌어내는 것
3. 미래에는 남을 이기는 것이 경쟁력이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능력이 경쟁력이다

제2장 먼저 사람공부를 하고 나서 글공부를 하라고 가르쳤던 전통교육
1. 유태인 교육법보다 우리에게 더 절실한 조선의 교육법
2. 인성교육을 조기 교육해야 한다
3. 전통교육에서는 지식보다는 생활습관과 예절을 먼저 가르쳤다
4. 아이의 연령에 따른 예절교육 내용

제3장 조선의 아이들은 무슨 책을 배웠을까
1. 바른 품성을 길러주었던 조선의 아동 학습서
2. 어린이 생활예절 교과서 《사자소학》
3. 어린이에게 좋은 정서를 길러주는 《추구》
4. 어린이 산문 입문서 《계몽편》
5. 우리나라 최초의 아동 교과서 《동몽선습》
6. 아동교육 지침서 《소아수지》
7. 삶의 목표를 세우는 법과 실천을 가르쳤던 교육서 《격몽요결》
8. 품격 있는 사람으로 길러주는 인성교육서 《사소절》

제4장 떡잎부터 좋은 인성을 만들어주는 지침서《태교신기》
1. 아이의 인성 씨앗은 부모의 태교에서 만들어진다
2. 임신부의 모든 것이 태아에게 크게 영향을 미침을 일깨우는《태교신기》
3. 어머니와 아버지가 함께하는 태교를 강조한 전통 태교

제5장 평생을 좌우할 바른 생활습관을 길러주는《사자소학》
1. 조선의 아이들에게 체계적인 인성 갖추기를 가르쳤던《사자소학》
2. 바른 인성을 키우기 위한 여덟 가지 덕목
1) 예절–몸가짐과 마음가짐을 올바로 하는 것
2) 효도–모든 교육은 효도부터 가르쳐야 한다
3) 정직–바른 마음가짐은 정직에서 나온다
4) 책임–선한 영향을 주고받도록 좋은 환경을 선택해야 한다
5) 존중–원만한 인간관계는 상대의 존중에서 비롯된다
6) 배려–내 마음을 비추어 타인을 살피는 것
7) 소통–인간관계의 성공은 소통에 달려 있다
8) 협동–마음과 힘을 보태주는 것

제6장 생각의 힘을 길러주는 한시 입문서《추구》
1. 마음을 깨우고 되찾는 교육
2. 정서를 길러주고 사고력을 키워주는 한시 모음집 《추구》
3. 한시를 통해 자연의 법칙을 배우고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다

제7장 사물의 원리를 가르치는 아동 산문입문서《계몽편》
1. 머리말 <수>편–사물의 원리를 가르치다
2. 하늘이야기 <천>편–자연의 원리를 가르치다
3. 땅이야기 <지>편–만물을 구성하는 요소를 가르치다
4. 물건이야기 <물>편–세상의 생물을 가르치다
5. 사람이야기 <인>편–인간 세상의 질서를 가르치다

제8장 평생의 처세법을 가르쳤던《동몽선습》
1. 어렸을 때부터 인간관계의 질서를 배웠던 조선의 아이들
2. 우리나라 최초의 교과서 《동몽선습》
2. 《동몽선습》에서 처세를 배우다
1) 서문–인간이 동물과 다른 점은 도덕이 있다는 것
2) <부자유친>편–부모는 가르칠 의무가 있고, 자식은 효도해야 할 의무가 있다
3) <부부유별>편–남편과 아내는 각자의 역할이 있다
4) <장유유서>편–윗사람은 모범을 보이고, 아랫사람은 윗사람을 존중해야 한다
5) <붕우유신>편–나에게 모범이 될 만한 친구와 사귀어야 한다

제9장 품격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한 예절 학습서《동자례》
1. 원만한 사회생활을 위한 첫걸음, 예절
2. 몸과 마음을 다스리는 예절
3. 부모와 스승을 섬기는 예절
4. 학교에서 행해야 할 예절

제10장 어떻게 살 것인가를 배우는 삶의 지침서《격몽요결》
1. 공부는 삶의 방향을 알려주는 나침반과 같다
2. 학문을 시작하는 아이들을 위한 교재 《격몽요결》
3. 제1장 입지(立志)–삶의 올바른 목표를 세우다
4. 제2장 혁구습(革舊習)–절제력은 어려서부터 길러야 한다
5. 제3장 지신(持身)–올바른 몸가짐과 마음가짐 기르기
6. 제4장 독서(讀書)–독서의 방법과 순서
7. 제5장 사친(事親)–부모를 섬기다
8. 제6장 상제(喪制)–상례의 방법
9. 제7장 제례(祭禮)–제사의 방법
10. 제8장 거가(居家)–집에서의 예절은 사회생활의 기본이 된다
11. 제9장 접인(接人)–사회생활을 위한 처세법
12. 제10장 처세(處世)–공부는 사람으로서 잘 살기 위한 과정이다

제11장 사회생활을 위한 사소한 예절 지침서《사소절》
1. 로봇이 인간을 대체하는 미래 사회에서는 인간 고유의 인성이 경쟁력이다
2. 사소하지만 꼭 필요한 예절을 가르쳤던 《사소절》
3. 동지(動止)·행동거지 – 어릴 때의 몸가짐이 바른 사람을 만드는 길이다
4. 교습(敎習)·가르치고 익힘 – 아이를 가르치는 것은 부모의 의무
5. 경장(敬長)·어른을 공경함 – 어른을 대할 때의 세세한 예절
6. 사물(事物)·이런 일 저런 일 – 예절은 올바른 마음가짐에서 나온다

부록
1. 중국의 어린이 명상 교재 《명심보감》
2. 중국의 어린이 예절 교과서 《소학》
3. 중국의 어린이 기본 동몽서 《삼자경》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태안군립도서관

Copyright © 태안군립도서관.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