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립도서관
선택한 기관 검색 선택해제
통합검색 상세검색 다국어 입력기

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320.17
도서 시간은 어떻게 돈이 되었는가? : 경제학으로 본 자본주의 사회의 시간 싸움
  • ㆍ저자사항 류동민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018
  • ㆍ형태사항 226 p.: 삽화; 23 cm
  • ㆍISBN 9791160801095
  • ㆍ주제어/키워드 시간 마크르스 경제학 자본주의
  • ㆍ소장기관 태안군안면공공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EM0000046257 [태안안면]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과연 우리는 자본주의 사회의 소용돌이 속에서 시간의 주도권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인가? 마르크스 경제학의 눈으로 세상만물을 분석하는 한국의 대표적 마르크스 경제학자 류동민 교수가 자본주의 사회의 시간에 주목해 우리 일상에서 시작하는 질문은 시간의 속성을 다루며 자본주의적 시간의 의미와 구조를...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머리말

프롤로그_ 자본주의적 삶 속에서 잃어버린 시간을 추적하다

1장 만화경 속 세상: 주체와 객체
첫 부분은 항상 어렵다 | 소비하는 인간에서 경제학적 인간으로 | 합리적 소비와 비합리적 소비의 모호한 경계 | 구조, 신 혹은 괴물? | 상품은 객체일 따름인가 | 시간을 주어로 놓고 술어들을 펼치다

2장 나의 배고픔과 너의 배고픔: 개별과 보편을 오가는 운동
시위대도 전경도 기자도 먹어야 산다 | 나는 너의 기쁨에 얼마나 공감할 수 있는가 | 사용가치: 비자본주의적 커피의 맛 | 교환가치: 물과 다이아몬드의 역설 | 가치: ‘말해지지 않는 것들’을 찾아내려는 노력

3장 병 속에 갇힌 시간: 시간의 물질화
시간의 허리를 잘라 상품 속에 가두다 | 시장의 비인격성: 돈은 주인을 가리지 않는다 | 노동시간과 가치실체: 레닌이 테일러주의에 열광한 이유 | 가치실체의 내/외재성: 비명문대가 없다면 명문대도 없다 | 구체적 시간 vs. 추상적 시간 | 사적 노동이 사회적 노동으로 바뀔 때 | 노동자의 시간과 CEO의 시간은 다르게 간다

4장 시간은 돈이다: 화폐, 그 물신에 관하여
거울과 사진 속 내 얼굴은 얼마나 다른가 | 가치 형태: 상품을 바라보는 유일한 거울, 화폐 | 화폐 형태: 종이 쪼가리는 어떻게 돈이 되는가 | 《신엘로이즈》와 화폐 없는 이상적 삶 | 화폐의 존재론과 인식론

5장 프로페셔널의 조건?: 시간의 밀도
‘프로페셔널’이 되기 위한 시간 관리 비법 | 〈모던 타임즈〉의 공장 노동자는 왜 불행해졌나 | 무엇이 ‘복잡한 노동’을 결정하는가 | 스톡으로서의 시간 vs. 플로우로서의 시간

6장 항상 현재로 돌아오는 시간 여행: 시간의 착취
현재로만 돌아오는 시간 여행 | 부리는 노동량 vs. 들어간 노동량 | 자본주의가 살아 있는 한 착취는 계속된다 | 노동시간의 경제학 | 나의 시간이 온전히 내 것이 되지 못하는 이유

7장 시급에는 건강하게 출근하는 것까지 포함된 거야: 삶의 시간 vs. 자본의 시간
경제학의 눈으로 읽은 《편의점 인간》 | 돈이 되지 않는 시간, 여가 | 프라이스리스: 여가의 기회비용 | 관리자의 연봉이 몇 백배 높은 이유 | 삶 속으로 파고드는 자본의 시간

8장 삽질의 과학: 시간을 둘러싼 싸움
놀부를 착취하는 흥부 | 감정과 구조의 정치경제학 | 삽질의 과학과 테일러주의 | 노동생산성이라는 마법

9장 메타포의 세계: 자본의 시간 vs. 사회의 시간
《기사단장 죽이기》와 이중의 메타포 | 자본이 인정하는 시간 | 시간주권의 회복을 위하여 | 자본의 시간과 사회의 시간은 다르게 흐른다

10장 굳어진 시간에서 흐르는 시간으로: 자본의 변태
마르크스의 자본 vs. 피케티의 자본 | 자본의 순환: 자본은 어떻게 미술품으로 탈바꿈하는가 | 기계적 시간과 가상의 시간 | 굳어진 시간에서 흐르는 시간으로

11장 노동력의 흐름에서 자본의 흐름으로: 시간의 재구성
자본에 휘감겨 들어가는 노동력의 순환 | 인적자본의 빛과 그림자: 빚을 안고 졸업하는 대학생들 | 시간의 가역성: 역사적 시간과 논리적 시간 | 재구성된 시간: 인간의 삶 vs. 자본의 삶

12장 21세기판 모던 타임즈: 잉여의 시간
누가 우리의 노동을 모욕하는가 | 자본의 틀에서 밀려난 시간: 비정규직 노동의 역설 | 자본의 노동자 길들이기 전략: 산업예비군의 역할 | 《잠실동 사람들》과 새로운 도회적 풍경

13장 김 첨지의 ‘운수 좋은 날’과 반복창의 일확천금: 허구의 시간
미두왕 반복창의 몰락 | 자본의 물신이 완성되는 순간 | 가공의 시간 vs. 진짜 시간 | 금융정책이 표심에 미치는 영향

14장 시간이 사라질 때: 노동의 소멸
자본주의의 낭만적 기원 | 완전 자동화가 이루어지고 노동시간이 사라진다면? | 산 자를 잡는 죽은 자, 지적재산권

15장 ‘필연의 왕국’에서 ‘자유의 왕국’으로: 시간의 노예에서 벗어나기
기본소득에 걸린 이중 혐의 | 자본이 을이 되는 지점 | 필연의 왕국에서 자유의 왕국으로

에필로그_ 여기가 로두스 섬이다. 자, 여기서 뛰어 보라!

참고 문헌
찾아보기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태안군립도서관

Copyright © 태안군립도서관.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