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립도서관
선택한 기관 검색 선택해제
통합검색 상세검색 다국어 입력기

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126.3
도서 인간 의 역사 = History of human nature
  • ㆍ저자사항 홍일립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 에피파니, 2017
  • ㆍ형태사항 1182 p. : 천연색삽화, 도표 ; 24 cm
  • ㆍ일반노트 권말부록: 고대 중국사상을 바라보는 서양의 여러 시각... 등 표제관련정보: 오로지 인간만이 스스로의 본성에 의문을 갖는다
  • ㆍISBN 9788955967807
  • ㆍ주제어/키워드 인간 본성 역사 인성
  • ㆍ소장기관 태안군립중앙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GM0000031923 [태안중앙]보존서고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인간의 본성은 무엇인가! 『인간 본성의 역사』는 “인간 본성은 무엇인가?”라는 주제에 대해 이제껏 이루어진 사상가들과 과학자들의 생각을 전면적으로 재구성해낸 책이다. 다시 말하면, 이 책은, 인간이 인간에 대해 이해한, 인간 본성의 모든 관념을 시간적으로는 통시적, 내용적으로는 전체적으로 고찰한...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책머리에 6
프롤로그 왜 다시 ‘인간 본성’인가?
르미유와 고갱의 경우 27
‘인간 본성’ 관념의 역사 34
‘인간 본성의 과학’의 출현 42
이 책의 관점 48

1부 선악의 문제
1. 고대 중국 성론의 배경과 갈래 67
1) 사회적 배경 68
2) 성론의 갈래와 쟁점 72
공자의 견해 / 핵심 쟁점
2. 양주의 귀기론 85
1) 양주의 핵심 주장 87
2) 잘못된 해석 - 위아론과 쾌락주의 91
3) 자연주의적 인간학 98
3. 고자 대 맹자 - 생물학주의 대 도덕주의 101
1) 性 개념 차이 102
2) 性의 내용 차이 - ‘食色’ 대 ‘仁義’ 105
3) 논쟁 아닌 논쟁 109
4. 맹자의 성선 논증 112
1) 성장하는 性 114
2) 성선설의 개요 115
3) 성선론의 문제점 120
5. 순자의 맹자 비판 125
1) 순자의 性 개념 126
2) 화성기위론 131
3) 성악론의 문제점 140
6. 맹·순 사상 비교 - 다름과 비슷함 144
1) 주정주의 대 주지주의 145
2) 도덕주의와 학습론 149
3) 성선과 성악은 용명의 차이일 뿐 152
7. 한비자의 성악호리설 155
[Appendix - 1] 고대 중국사상을 바라보는 서양의 여러 시각 163
1) 중국사상에 대한 근대 서방의 시각 / 2) 중국어는 철학에 부적합하다? / 3) 중국철학의 합법성 문제

2부 이성의 발견
1. 철학의 탄생 184
1) ‘최초의 철학자들’의 생각 185
2) 소피스트의 출현 - ‘인간학적 전회’ 190
3) 프로타고라스의 상대주의 193
4) 소피스트적 인간중심주의 196
5) 소크라테스의 주지주의 199
2. 플라톤 인간학의 형이상학적 토대 207
1) 동굴의 비유 210
2) 상기론 215
3. 플라톤의 심신이원론 218
1) 육체는 영혼의 감옥 219
2) 영혼 삼분설 222
4. 국가 -영혼의 확대판 226
1) 세 계급론 227
2) ‘이상국가’인가, ‘이상한 국가’인가? 230
5. 플라톤의 종교적 인간학 237
1) 신화의 창작자 238
2) 신학자 플라톤 240
6.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간본성론 248
1) 목적론적 형이상학 249
2) 심신일원론 251
3) 인간 영혼의 고유성 254
4) 이성의 실천적 영역 257
5) ‘폴리스적 동물’ 261
[Appendix - 2] 플라톤의 국가는 전체주의의 망령인가? 269

3부 근대적 인간
중세 철학은 신학인가? 287
‘근대적 인간’의 출현 292
1. 마키아벨리 - 인간 본성과 ‘국가 이성’ 296
1) 정치적 현실주의 297
2) 통치의 기술 301
3) 정치와 도덕의 분리 303
2. 데카르트의 ‘기계 속의 유령’ 312
1) 인간 본성은 사유 315
나 = ‘사유하는 자’ / 코기토는 본유관념
2) 정신 따로 육체 따로 321
3) 심신이원론의 딜레마 325
송과선 모형의 한계 / 정념의 역할
4) 철학과 신학 사이에서 332
3. 토머스 홉스의 ‘자연상태’ 340
1) 인간은 물질이다 341
물질주의 / 물체로서의 인간
2) ‘자연상태’와 인간 본성 347
자연상태의 평등 / 인간 본성 - 욕망과 이기성 / 도덕적 상대주의
3) 공룡 국가 354
4) 인간 오성 너머의 신 362
5) 원자적 개인 367
4. 존 로크의 ‘빈 서판’ 370
1) 본유관념의 부정 371
허버트 경의 본유관념론 / 본유관념론 비판 / 본유관념론의 폐해
2) 빈 서판론 377
관념의 원천 / 서판의 기능
3) 자유와 평등의 주체 383
자연상태의 인간 / 개인은 국가에 우선한다
4) 이성과 신앙 - 분리와 조화 392
5. 데이비드 흄 - ‘이성은 정념의 노예’ 399
1) 관념의 기원 402
2) 인과성 분석 409
3) 자아와 인간 본성 412
이성의 축소와 정념의 역할 / 도덕의 원천 - 이기심과 공감
4) ‘완화된’ 회의주의 420
이성 너머의 피안 세계 / ‘자연주의 프로그램’
6. 루소의 ‘고상한 야만인’ 428
1) ‘고상한 야만인’의 개념 430
2) ‘본원적 인간’ 432
3) 인간 본성은 자기애와 동정심 434
4) 평등의 붕괴 438
5) 자연인 대 문명인 446

4부 역동적 자아
1. 마르크스의 휴머니즘 460
1) 마르크스는 불변적 인간 본성을 부정하였는가? 462
2) 추상적 인간에서 ‘유적 존재’로 467
포이어바흐의 유산 / 포이어바흐의 인간 개념
3) ‘유적 존재’에서 ‘사회적 관계의 총체’로 475
포이어바흐 인간학의 한계 / 여섯 번째 「테제」를 둘러싼 논쟁
4) 인간 본성의 개념 484
생산과 노동 / ‘사회적 관계의 총체’
5) 소외 490
6) 인간 개조와 본성의 복원 494
프롤레타리아의 개념 / 의식의 존재 구속성 / 인간 개조와 유토피아
7) 인간 본성 논쟁의 결말 500
2. 뒤르켐의 사회실재론 508
1) 뒤르켐은 빈 서판론자인가? 509
2) ‘사회적 사실’의 개념 514
‘사회적 사실’의 예증 - 자살과 종교 / 사회는 ‘사회적 사실의 총체’
3) ‘이중인’ 524
3. 파레토의 비논리적 행위 이론 532
1) 마키아벨리의 후예 534
2) 논리·실험적 방법 535
3) 논리적 행위와 비논리적 행위 537
4) 잔기와 파생체 539
5) 불변적 인간 본성과 엘리트 순환의 역사 545
6) 인간 본성에 관한 비관주의 550
4. 보아스의 문화실재론과 보아스주의 554
1) ‘야만인’ 논쟁 557
2) 보아스주의 563
보아스의 문화특수주의 / 보아스주의와 문화결정론
3) 문화주의 대 생물학주의 583
말리노프스키의 욕구이론 / 문화의 생물학화 / 본성과 양육의 상호작용?
5. 프로이트의 무의식 가설 600
1) 마음의 구성도 602
2) 2차 모형 607
세 심급의 심적 기능 / 정신 과정의 작동 원리 / 에너지 체계로서의 정신 / 자아와 초자아의 기원 / 자아의 본질
3) 본능 대 문명 618
에로스와 타나토스 / 공격 충동과 자기 파괴 / 문명 속의 불만
6. 스키너의 행동주의 630
1) 존 왓슨의 행동주의 강령 632
2) 신행동주의의 주요 지침 635
3) 스키너의 환경결정론 638
과학적 환경주의의 범례 / 급진적 환경주의
4) 정신주의에서 행동주의로 649
내부인은 관찰이 불가능하다 / 행동의 결정요인은 본능이 아닌 강화 조건 / 내부인의 본질은 외부인 / ‘자유의지’라는 것은 없다
5) 행동공학과 이상향 실험 657
6) 인간 본성 부재의 휴머니즘 662
[Appendix - 3] 마르크스는 죽었는가? 668
1) 과학인가 도덕인가 / 2) 다시 살아나는 마르크스의 추억
[Appendix - 4] 정신분석의 과학성 논란 683

5부 다윈의 ‘동물로서의 인간’
1. 다윈 혁명의 전조 700
1) 설계론과 인간종 중심주의 702
2) 유물론의 도전과 진화론의 출현 706
2. 진화론의 이론적 구조 713
3. 다윈의 공동조상 논증 723
1) 인간이 하등동물에서 유래되었다는 물리적 증거들 727
2) 인간과 하등동물의 정신 능력 비교 732
3) ‘사회적 본능’과 도덕성의 진화 738
본능이라는 난제 / 본능은 고정불변이 아니라 변화한다 / 사회적 본능 - 도덕의 기원 / 도덕의 진화
4) ‘비천한 기원의 흔적’ 752
인간의 유연계통 / 인류는 단일한 하나의 종 / ‘비천한 기원’에 대한 지워지지 않는 흔적
5) 다윈의 논증은 왜 중요한가? 759
4. 다윈 인간학이 남긴 문제들 765
1) 신의 문제 767
2) 진화는 진보인가? - 다윈과 스펜서 774
3) 이데올로기로서의 다윈주의 781
[Appendix - 5] 다윈의 우군과 적군 789

6부 생물학주의
1. 유전자선택론 803
1) 생물학적 본능론 805
본능의 용법 / 본능에서 유전자로
2) 유전자선택론 815
인간 본성의 비밀을 푸는 열쇠? / 윌리엄스의 유전자 정의 / 도킨스의 ‘불멸의 코일’
3) 인간 본성은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가 827
유전자는 독자적으로는 아무것도 못한다 / 유전자와 행동 간의 일대일 대응관계는 성립하지 않는다 / 논란의 새 국면 - HGP 결과에 대한 해석의 차이
4) 유전자인가, 환경인가? 845
2. 사회생물학과 인간 본성 850
1) 사회생물학의 이론적 토대 852
동물행동학의 원리 / 유전자선택론의 사회문화적 확장 / 방법론적 환원주의
2) 인간 본성의 기원 864
개미 사회와 인간 사회의 보편문화 목록 / 유전자-문화 공진화 가설의 겉과 속 / 인간 본성은 후성규칙 / ‘유전자-문화 전달’로 굳어진 ‘인간 본성들’?
3) 인간 본성에 관한 ‘궁극원인적’ 접근 881
3. ‘도덕의 생물학’ 888
1) 도덕에 관한 생물학적 관점 890
2) 이타주의 발생에 관한 생물학적 가설 897
해밀턴의 혈연선택 가설 / 소버와 윌슨의 다수준선택론 / 트리버스의 호혜적 이타주의 이론 / 레다 코스미데스와 존 투비의 사회계약이론 / ‘죄수의 딜레마’와 맞대응 전략 / 진화윤리학적 이타성의 개념
3) 생물학적 도덕 담론의 유용성과 한계 926
이타성이 곧 도덕인가? / 도덕과 이성은 무관한가? / 과학과 윤리는 상충되는가?
[Appendix - 6] 문화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생물학적 제 시각 945
[Appendix - 7] ‘사회생물학 논쟁’ 재고 952
1) 상상과 추론의 사이비과학? / 2) 사회생물학은 우파 이데올로기인가?

7부 인간 본성의 딜레마
1. 인간 본성 관념사의 핵심 쟁점 978
1) 우리는 ‘선한 천사’인가, ‘타고난 악마’인가? 979
2) 본성은 타고나는가, 만들어지는가? 988
3) 인간 본성 논쟁은 언어 문제인가? 993
4) 인간 본성이라는 게 있기는 하나? 999
2. ‘인간 본성의 과학’은 새로운 인간학인가? 1009
1) 과학은 수사인가? 1010
2) 사실과 추론의 혼합 1015
3) 궁극원인적 접근의 한계 1020
4) 인간 본성을 왜 ‘인간이 아닌 동물’에서 찾으려 하는가? 1022
5) 인간은 DNA가 아니다 1027
3. 심신문제의 굴레 1030
1) 마음 = 뇌? 1033
2) ‘모듈성 논제’의 사례 1036
3) ‘어려운 문제’ 1041
4) 맺음말 1050\

참고문헌 1058
인명색인 1162
용어색인 1174
책 속으로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태안군립도서관

Copyright © 태안군립도서관.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