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립도서관
선택한 기관 검색 선택해제
통합검색 상세검색 다국어 입력기

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511
도서 줄기세포 발견에서 재생의학까지
  • ㆍ저자사항 샐리 모건 글;
  • ㆍ발행사항 파주: 다섯수레, 2011
  • ㆍ형태사항 127 p.: 삽도, 지도, 초상; 24 cm
  • ㆍ총서사항 미래과학 로드맵; 01
  • ㆍISBN 9788974783501
  • ㆍ주제어/키워드 줄기세포발견 재생의학 난치병치료 윤리문제
  • ㆍ소장기관 태안군립중앙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GM0000003633 [태안중앙]일반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신청하기
상호대차서비스 신청은 대출가능 소장도서만 가능합니다.

상세정보

줄기세포는 몇 년 전 황우석 박사 사건으로 뜨거운 관심을 모았다. 이 사건으로 줄기세포 연구는 한때 위축되었지만, 줄기세포를 이용한 놀라운 치료법에 대한 뉴스가 잇달아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임상 실험을 승인하기도 했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목차

들어가며_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줄기세포 4

놀라운 세포의 세계
재생의학이 탄생하다 10
줄기세포란 무엇인가? 10
줄기세포로 어떻게 질병을 치료할까? 12

현미경의 발명
현미경이 만들어지다 14
최초로 세포를 관찰하다 14
단세포 동물을 발견하다 15
세포를 연구하기 시작하다 17
단세포 생물과 다세포 생물은 어떻게 다른가? 17
세포 속에는 무엇이 있을까? 19
전자현미경이 만들어지다 20
전자현미경은 어떻게 작동할까? 20
투과전자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은 각각 어떤 장점이 있을까? 22
현미경은 어떻게 발전했을까? 23
세포를 자세히 관찰하기까지 많은 시행착오를 겪다 25
세포 소기관으로 어떤 것이 있을까? 25
염색체와 유전자란 무엇인가? 28
세포의 종류는 얼마나 많을까? 30
간세포는 어떤 기능을 할까? 30
적혈구세포는 어떤 기능을 할까? 31
신경세포는 어떤 기능을 할까? 33

줄기세포의 이해
부풀어 오른 기형종을 발견하다 36
테라토마란 무엇인가? 37
줄기세포를 특정한 세포로 바꾸는 데 성공하다 38
줄기세포의 신비를 밝혀내다 39
골수 이식에 성공하다 40
줄기세포는 자가증식이 가능하다 42

이식과 면역
면역체계 연구가 시작되다 46
최초로 골수 이식에 성공하다 48
골수 이식은 어떻게 할까? 50
이식 거부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까? 51
줄기세포는 어디에서 발견될까? 51
골수줄기세포는 어떤 기능을 할까? 52
피부줄기세포는 어떤 기능을 할까? 54
줄기세포의 근원인 배아를 연구하기 시작하다 55
배반포기에서 어떻게 배아줄기세포를 얻을까? 55
배아줄기세포는 어떻게 만들까? 57
수정란을 이식하여 복제 동물을 만들다 58
성체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와 어떻게 다른가? 59
태반과 탯줄에서 줄기세포를 얻게 되다 62
배아줄기세포와 성체줄기세포의 장단점을 고려해야 한다 63
줄기세포를 이식할 때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64

줄기세포의 배양
줄기세포 수백만 개를 만들다 68

줄기세포 연구의 쟁점
사람들은 왜 인간 배아를 이용한 줄기세포 연구를 우려할까? 72
줄기세포 연구는 어떻게 규제되고 있을까? 74
우리나라에서는 줄기세포 연구를 어떻게 관리하고 있을까? 78
줄기세포 규제의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까? 78

재생의학의 발달
재생의학이란 무엇인가? 82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법으로 어떤 것이 있을까? 83
줄기세포로 심장병을 치료할 수 있을까? 86
심장 치료는 어떻게 이루어질까? 88
지방줄기세포로 어떻게 족부궤양을 치료할까? 89
파킨슨병을 어떻게 치료할 수 있을까? 94
줄기세포로 암을 치료할 수 있을까? 97
암은 어떻게 치료할까? 98
줄기세포가 정말 암을 일으킬까? 99

미래에 대한 전망
나노그란 무엇인가? 102
손상된 척수를 치료할 수 있을까? 103
줄기세포는 치과의 재건 수술에 어떻게 쓰일까? 104
줄기세포로 대머리를 치료할 수 있을까? 104
우주과학을 줄기세포 연구에 활용하다 107
생체 시계를 거꾸로 돌리려는 시도를 하다 108
역분화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하다 109
역분화줄기세포의 문제점이 제기되다 112
줄기세포를 얻는 방법으로 어떤 것이 있을까? 113

오늘날의 재생의학

현미경과 줄기세포 연구의 역사 119
줄기세포 연구에 공헌한 과학자들 122
유용한 도서와 웹 사이트 126

[인터넷서점 알라딘 제공]

태안군립도서관

Copyright © 태안군립도서관. All Rights Reserved.

Libropia QR code